◈ 해외명산지도-정보/히말라야트레킹,지도·여행·정보

히말라야 14좌의 사진과 설명

정상고집 2014. 7. 4. 17:45

히말라야 14좌의 사진과 설명

 

세계의 8,000m급 봉(14좌)

산 이 름

높 이(단위:m-ft)

소 속 지 역

1. 에베레스트(Everest )

8,848-29,028

네팔/중국 

2. 케이투(K2)

8,611-28,250 

파키스탄/중국 

3. 캉첸중가(Kangchenjunga)

8,586-28,169

네팔/인도 

4. 로체(Lhotse)

8,511-27,940

네팔/중국 

5. 마칼루(Makalu)

8,463-27,766 

네팔/중국

6. 초오유(Cho Oyu)

8,201-26,906 

네팔/중국 

7. 다울라기리(Dhaulagiri)

8,167-26,795

네팔

8. 마나슬루(Manaslu)

8,163-26,781

네팔 

9. 낭가파르밧(Nanga Parbat)

8,125-26,660

파키스탄 

10. 안나푸르나(Annapurna)

8,091-26,545

네팔 

11. 가셔브룸1봉(GasherbrumⅠ)

8,068-26,470 

파키스탄/중국

12. 브로드피크(Broad Peak)

8,047-26,400

파키스탄/중국 

13. 가셔브룸2봉(Gasherbrum Ⅱ)

8,035-26,360 

파키스탄/중국

14. 시샤팡마(shisha Pangma)

8,012-26,285

중국    

 


*기 타 8,000m급 봉(2좌)

15. 얄룽캉(Yalung Kang)

8,505-27896 

네팔

16. 로체샤르(Lhotse Shar)

8,400-27552 

네팔/중국

 

 

 

히말라야 14좌는 히말라야의 8,000m급 봉우리 중에서도 '자이언트'로 불리는 높은 봉우리들 중 14개를 지칭하는 것으로 에베레스트, K2, 칸첸중가, 로체 마칼루, 초오유, 다울라기리, 마나슬루, 낭가파르밧, 안나푸르나, 가셔브롬1, 브로드피크, 가셔브롬2, 시샤팡마 등이 히말라야 14좌이고 8,000 미터가 넘으면서도 주봉과 산줄기가 같다고 해서 제외된 얄룽캉(8,505 m)과 로체샤르(8,400 m)를 더해 16좌라고도 한다.

 

 

1. 에베레스트 (초모룽마) Everes (8850m)

 

 

히말라야의 에베레스트 (초모룽마) 8848미터  8850미터라고도 한다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初登) 순위 : 2 (1953년)
첫 등반가 : 힐러리, 텐징 (영국 원정대)

 

1852년 영국 측량 부대에 의해 발견된 에베레스트산의 이름은 측지학자 에베레스트 경의 이름에서 따왔다.

 

본디 이름은 티벳트어로 초모룽마, '세계의 여신'이라는 뜻이다.
영국 원정대는 1921년부터 1953년 사이 10번 도전 끝에 성공하였다.

 

세계 최고봉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고 고상돈 산악인이 1977년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했다

 

 2. K2 (8,611m)

 

 

카라코람봉(파키스탄) 8611미터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4 (1954년)
첫 등반가 : 콤파뇨니, 라체델리 (이탈리아 원정대)
히말라야에서 2번째로 높은 봉우리.
영국 측량대에서 측량된 산으로 2번째로 측량되어 K2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며 지금도 이 명칭을 사용한다.
1892년 첫 원정대가 등정하였으며(도중 실패), 피라미드처럼 깍아지른 모습의 경사 때문에 이탈리아, 미국의 여러 원정대가 고전하였다.

 

3. 칸첸중가 Kanchenjunga (8598m)

 

 

 

카첸중가 (인도) 8593미터 시킴히말라야

 

 
위치 : 시킴 히말라야(인도)
초등 순위 : 7 (1955년)
첫 등반가 : 조지 밴드, 조 브라운 (영국 원정대)
가장 먼저 알려진 히말라야 8000m급 봉우리로 K1이라는 명칭도 가지고 있다.
칸첸중가는 8,586m로 세계 3위의 고봉이다.
칸첸중가는 티벳어로 '5개의 큰 눈의 보고'라는 뜻이며 네팔인들에게는 최고의 성역으로 간주되는 산이다. 따라서 현지인들은 꼭대기에 올라서는 것을 극히 꺼린다고 한다.
주봉은 1955년 찰스 에반스가 이끄는 영국 원정대에 의해서 초등이 되었는데 등정자인 조지 밴드와 브라운은 성역을 밟지 말아 달라는 현지인의 간곡한 부탁을 받아들여 정상을 몇 걸음 앞둔 지점에서 등반을 멈추었다.
성역으로 간주되는 칸첸중가의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은 영국 원정대의 이같은 신사적인 행동은 알피니즘의 구현으로 히말라야 등반사의 한장을 장식하며 등반대의 성가를 더욱 드높였다.
한국에서는 87-88 동계 칸첸중가 원정대(부산 대륙산악회)가 캐러번 도중 대원 1명이 사망하는 어려움을 이겨내고 등정에 성공하였다.

 

 

 

 4. 로체 Lhotse (8,516m)

 

 

 

 

로체봉 네팔과 중국접경 8516미터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9 (1956년)
첫 등반가 : 라이스, 루흐징거 (스위스 원정대)
바로 옆에 있는 에베레스트산에 실체가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921년 첫 원정대에 의해 로체라 이름이 붙여졌다.

로체는 '남쪽 봉우리'라는 뜻.

 

 

5. 마칼루 Makalu (8463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6 (1955년)
첫 등반가 : 프랑코 (프랑스 원정대)
1921년 처음 알려졌다.
뉴질랜드, 미국, 프랑스 세나라가 경쟁을 하였으나, 우수한 장비와 계획적인 등반으로 프랑스가 손쉽게 정복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 가을 한국산악회의 허영호씨가 단독으로 등정에 성공했다.

 

 

6. 초오유 Cho Oyu (8201 m )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4년)
첫 등반가 : 티히, 파상, 요할라 (오스트리아 원정대)
마칼루와 마찬가지로 1921년에 비로소 발견되었다. 티벳말로 '터키 구슬'이라는 뜻이다. 

1954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단 4일 만에 정복되었다.

 

7. 다울라기리 Dhaulagiri (8167m)

 

다울라기리봉 8167미터 네팔 중국접경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3 (1960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등 5명 (스위스-오스트리아 원정대)
다울라기리는 인도어로 '흰 산'이란 뜻이다. 여러 나라가 8번 도전 끝에 정복하였다.
사방이 낭떨어지로 험준한 얼음 요새는 뒤늦게 스위스,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8. 마나슬루 manaslu (8163 m )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6년)
첫 등반가 : 이마니시 등 3명 (일본 원정대)
마나슬루는 인도어로 '영혼'이라는 뜻이다.
일본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3차례의 원정대를 보냈다.
중간에 마을 주민들의 방해가 있었지만, 1956년에 3차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어, 당시 패전국의 설움을 안고 살았던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6m )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3 (1953년)
첫 등반가 : 헤르만 볼 (독일 원정대)
1895년 히말라야 8천m급 봉우리 중에서 가장 먼저 등반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첫 도전부터 1953년 정복까지 무려 31명의 희생자를 냈다.
독일은 6차례의 원정 끝에 정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10.안나푸르나 Annapurna (8,091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 (1950년)
첫 등반가 : 에르조그, 라슈날 (프랑스 원정대)
프랑스 원정대는 조직적인 계획과 신식 등반 장비 덕분에 단 한 번의 도전으로 정상에 올랐다.

 

 

 

11. 가셔브룸 1 (히든 피크) 8,068m

 

Gasherbrum 1 (Hidden Peak)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2 (1958년)
첫 등반가 : 세닝, 클린치 (미국 원정대)
이 산의 또 다른 이름은 히든 피크이다.
다른 봉우리에 가려 숨겨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몇 번의 시도 끝에 1958년 미국 원정대는 정상에 올라 강대국의 체면을 살릴 수 있었다.

 

 12. 브로드 피크 Broad Peak (8,047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1 (1957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불 (오스트리아 원정대)
브로드 피크란 이름은 이 산의 정상이 평평하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4명의 오스트리아인 대원이 전부인 원정대는 역대 가장 적은 비용으로 정복에 성공하였다


 

13. 가셔브룸 2 Gasherbrum 2 (8,035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0 (1956년)
첫 등반가 : 라르히 등 3명 (오스트리아 원정대)

카라코람 발토르 산맥의 가셔브룸 산군 가셔브룸 2봉은 가장 쉬운 8,000미터 봉으로 꼽힙니다.

1956년에 1934년의 정찰을 토대로 오스트리아 원정대가 모라벡의 지휘 아래 남서릉을 경유하여 가셔브룸 2봉의 초등에 성공했다. 가셔브룸 2봉에는 5개의 독립된 루트가 있는데 모두 가셔브룸 계곡에서 출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여름에 성균관 대학교 산악회와 울산 합동대에 의해 초등되었다.

 

 

 14. 시샤팡마 (고사인탄) 8,013m

 

Shisha Pangma (Gosainthan)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4 (1964년)
첫 등반가 : 쉐칭 등 10명 (중국 원정대)
티베트어로는 시샤팡마(풀밭이 있는 산), 힌두어로 고사인탄(성자의 집)이다.
히말라야 8천m 고봉 중에서 가장 깊숙히 있으며, 중국령 티베트에 속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 원정대의 접근이 어려웠다. 이런 점을 이용한 중국은 최초 등정에 성공하였다.

중국원정대는 대륙이 공산화된 후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1961년, 1962년, 1963년 3회의 정찰 끝에 1964년 등정을 시도해 현재의 주접근로인 북면 야북캉가길라 빙하를 넘어 정상정복에 성공했다.

시샤팡마 등반때 가장 어려운 점은 극심한 기상변동에 따른 강풍인데,10월부터 시작되는 티벳고원의 폭풍은 평야지대 위에 우뚝 선 시샤팡마로 곧장 불어와 바람을 피할곳조차 없는 등반가들에게 큰고통을 준다.

등정의 또 다른 난관은 7,700m 부근에서 2회에 걸쳐 나타나는 경사 50도의 설벽이다.이 벽을 넘어서면 20도 정도의 완만한 경사를 순탄하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