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명산지도-정보/히말라야트레킹,지도·여행·정보

낭가 파르밧 - 고미영

정상고집 2014. 3. 8. 13:15

 낭가 파르밧

 

 

 

 

 

 낭가 파르밧 은  세계에서  9번쨰로  높은 산이다

파키스탄에서  2번째로 높은산이다

낭가파르밧은  우르두어로  벌거벗은 산을 의미한다

또한 이지방 사람들은  다이 마르 라  하여 산중에 산이라고 한다

 

하지만 고산 등반을  도와주는  사람들로  유명한  세르파   어로는  악마의 산이라고 한다

실제  killer  mountain이라고   카라코람 전망대에서  적혀 있다

낭가파르밧은 8천미터가  넘는 봉우리중 가장 위험한 곳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산은  이곳 주민들에  숭배의 대상이기도 하다

 

1895년 영국의 AF 머메리가 첫 시도를 한후  1953년 독일  오스트리아  등반 대원 헤불이 첫등정에 성공 하였다

 

이산에  남동쪽   벽 을  루팔벽이라고 하며 4500미터에  수직으로 된 절벽을 이룬다

히말라야를 등반하는 산악인에게 가장 어려운 코스중에 하나로

안나푸르나  남벽   마칼루 남서벽과 함꼐  루팔벽은 세계 3대  남벽으로 꼽힌다

루팔벽은  1970년  라인 홀트 메스 너에  의한  첫 등반 이후

1999년 우리나라에  엄홍길이  등정 했다

 

 

 

악마의 산  죽음에 산이라 불리우는 낭가파르밧은

산악인 고미영씨가 등정 성공후 하산중에 실족으로  사망한 산으로 유명하다

고인의 열정은 참아름답다

무리한 경쟁이  화를 만들어 냈다고 할수도 있지만

그만큼 히말라야 등반을  좋아 했고 고봉들은 사랑 하지 않았을까..

고인에 명복을 추모 한다

 

낭가파르밧(Nanga Parbat)

 지리적 위치: 파키스탄 펀잡 히말라야

 위도: 35도14'21"N

 경도: 74도35'24"E

 고도: 8,125m

산 중의 왕'으로 불리는 낭가파르밧은

약 2500Km에 달하는 협의의 히말라야 산맥 서쪽 끝에 위치한 펀잡 히말라야의 최고봉으로,

북쪽으로는 인더스강 상류를 경계로 카라코람과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캐시미르를 이어 히말라야로 통하고 있다.


다섯 개의 큰 빙하 위에 수직의 루팔(Rupal)벽이 남쪽으로,

디아미르(Diamir)벽이 서쪽으로,

그리고 라키오트(Rakhiot)벽이 북동쪽으로 내리 뻗고

그 위에 북봉, 주봉, 남봉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400미터 정상벽을 이루며 장엄하게 솟아 있다.


 

 


세계 제 9위의 고봉 낭가파르밧은

일찍이 알프스에서 등로주의를 선창하고 나선 머메리가 1895년 히말라야등반사의 첫 장을 열었던 산이다.

 머메리는 불행하게도 이 등반에서 조난사하고 만다.

그로부터 58년 뒤인 1953년 7월 3일 독일-오스트리아 합동대(대장 헤를리히코퍼)의

헤르만 불에 의해 초등정 되기까지 독일인에게 여섯 차례나 실패를 안겨주었고 그 과정에서 31명의 희생자를 낸 산이기도 하다.

초등정 당시 본부의 명령을 어기고 단독으로 정상도전에 나서

3일 만에 살아 돌아온 헤르만 불은 '8천미터의 위와 아래'라는 유명한 책을 남겼다.


보다 높고 까다로운 등반을 추구하는 머메리즘의 실현 대상으로서의

낭가파르밧은 8천미터급 산 중에서 가장 많은 희생과 고통을 요구하는 산이었다

표적인 벽은 디아미르벽과 루팔벽인데,

특히 남동쪽의 루팔벽은 수직 고도가 4,500 미터로 세계 최대의 벽이며 그 등반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7월 광주전남합동대가

낭가파르밧 정상등정을 시도했으나 정성백(조대공전 OB) 대원이 7900m지점에서 실종되고,

1992년 우암산악회가 등정에 성공했다.


<낭가파르밧 등반루트>


①북동릉(불루트)

북쪽 라키오트 빙하로 접근하는 1953년 초등정 루트.

북동벽을 피해 크게 우회하기 때문에 수평거리 8Km에 고도차 4,200m를 극복해야 한다.

이 거리는 히말라야를 통틀어 가장 긴 등반거리이다.


② 서벽 (킨스호퍼루트)

1962 독일의 킨스호퍼가 초등한 루트로 사실상의 노멀루트.

서쪽 디아미르벽 좌측의 가파른 바위홈통을 거쳐 북봉 근처에서 우회하는 루트로 많은 변형루트가 있다.


③남벽(루팔벽)

1970년 메스너형제가 개척한 루트.

그들은 루팔벽 중앙의 동남릉을 수직으로 오르는 직등루트를 내는데 성공했다.


④ 남서릉 (쉘루트)

1976년 오스트리아 산악인 한스 쉘이 루팔벽

좌측의 남서릉으로 초등한 루트.

⑤벽 (메스너루트)

1978년 메스너가 개척한 디아미르벽 정면루트.

8천미터급 최초의 단독등반을 기록하며 올랐다.


년도

계절

주 최

결 과

18

2000

5-7월

경상북도 연맹

권오수 이홍길 이화영 등정

17

1999

6-7월

전국합동

킨스호퍼 루트로 엄홍길과 셀파 등정

16

1998

여름

동국산악회

서면으로 박영석, 강성규 등정

15

1998

여름

개척산악회

서면으로 한왕룡,나관주 등정

14

1997

여름

충남대산악회

박정헌,김경수,신상만,황영준,모상현 등정

13

1997

여름

광주학산련 합동

서면 킨스호퍼루트 김주형 등정

12

1993

여름

충남대공대산악회

서면 8,070m서 포기. 하산중 안춘문 실종

11

1992

여름

서울시연맹

킨스호퍼 루트 7700m에서 후퇴

10

1992

여름

광주우암산악회

킨스호퍼루트로 김주현 등정

9

1992

여름

경남합동대

박희택,송재득대원 우암팀과 함께 등정

8

1992

여름

조선대공전산악회

디아미르 4캠프 직전에서 후퇴

7

1992

여름

서울·의정부합동

남면 루팔벽 시도, 6300m에서 단념

6

1991

여름

현대공고OB산악회

서벽 6300m에서 단념

5

1991

여름

한국·홍콩합동

김형주와 홍콩인 2명 등정주장

4

1990

여름

대한산악연맹

루팔벽 7350m에서 후퇴

3

1990

여름

광주합동

정성백대원 7900m에서 실종

2

1989

5-7월

전주대산악회

서면 6200m에서 김광호대원 추락사

1

1988

7-8월

한국산악회 합동

디아미르벽 6,400m에서 등반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