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산·등산지도/충청도-등산지도

(아산시)꾀꼬리산(鶯山 271m)과 물한산(水漢山 284m)등산지도

정상고집 2012. 4. 1. 23:07

물한산(水漢山 284m)

 

충남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꾀꼬리산(鶯山 271m)과 물한산(水漢山 284m)은 백제고성 답사지로 잘 알려져 있다. 두 산 모두 200여m 높이의 야트막한 산이지만, 정상에는 1,500여 년 전 백제를 지키기 위해 선열들의 애국애족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산성이 남아 있어, 유적지 답사 삼아 찾을 만하다. 

물한산 북동쪽 음봉면 삼거리 45번 국도 상 삼거리에서 서쪽으로 4km 떨어진 아산온천은 물한산 산행을 마친 뒤 피로를 풀기 적당한 온천이다. 

관광단지 내에 위치한 아산스파비스는 온천휴양을 통한 건강증진이라는 개념에서 건립된 종합온천장으로, 시설면에서 전국 최고라고 자랑할 정도다. 


꾀꼬리산 산행은 음봉면 송촌리 효자려(孝子閭)에서 시작한다. 천안과 아산온천을 잇는 628번 지방도로변의 효자려는 200년 묵은 느티나무와 더불어 마을 분위기를 상징하는 문화재다. 승용차는 효자려 앞 공터나 마을 위쪽 청계사에 세워놓을 수 있다. 청계사 입구에서 오른쪽 개울을 건너 산판길로 접어들면 채 20분도 안돼 나지막한 산마루 위로 올라선다.

산판길은 3년 전 송전탑 공사로 나무를 마구 베어내 조금 어수선한 편이고, 능선은 버섯재배를 위해 참나무를 베어내 사뭇 헐벗은 분위기지만, 1,500여 년 전 쌓은 산성이 곧 나타나리라는 기대를 하노라면 크게 신경에 거슬리지 않을 것이다. 꾀꼬리산 정상에 올라서서 성 안쪽으로 난 길을 따르노라면 꾀꼴성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꾀꼬리 앵(鶯) 자를 넣어 앵리산성(鶯里山城)이라고도 불리는 꾀꼴성은 높이 3m, 둘레 375m의 석성으로, 축성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백제가 공주로 천도한 다음 변방을 지키기 위해 쌓은 것으로 여겨진다. 성안에는 직경 10m, 깊이 2m의 물품저장소터가 남아 있다. 1530년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당시 이미 폐성으로 남아 있었다 전한다. 현재 북쪽 기슭과 남쪽 기슭의 짧은 구간에 당시 쌓았던 성벽의 모습이 남아 있다.

꾀꼬리산 정상에서 서쪽 물한산까지는 약 1.2km 거리로, 서서히 고도를 높이다 20분쯤 지나면 올라선다. 산성 안은 여름철이면 칡넝쿨과 가시덩굴이 많이 자라나 애를 먹이곤 하지만 이른 봄에는 문제될 게 없을 것이다. 높이 4m, 둘레 650m 규모로 물한산 정상 주위를 둘러싼 테뫼식 산성인 물앙성은 동쪽 꾀꼴성과 북쪽 연암산의 연암산성(燕巖山城)과 더불어 백제를 지켰던 산성이다. 물한성이 언제 물앙성으로 바뀌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성벽 내부에 5~10m 깊이의 호를 파서 배수로와 이동 통로로 이용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아산시와 광덕산, 만경산, 설화산뿐 아니라 멀리 아산만까지도 바라보이는 물한산 정상에서는 동천리 관룡사를 거쳐 시곡 마을로 내려가거나 송천리로 되돌아 내려가지만, 이 정도 산행으로 성이 차지 않는 사람은 남쪽 능선을 따라 226m봉과 방화산(方華山 163.1m)을 거쳐 현충사로 내려선다. 방화산으로 향하다 첫번째 갈림목에서 오른쪽 길을 따르면 염치저수지쪽으로 내려선다. 따라서 왼쪽 능선길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이보다는 산판길을 따라 골짜기로 내려섰다가 갈월고개로 올라선 다음 임도를 따라 226m봉에 올라서는 게 오히려 힘이 덜 든다. 226m봉 이후 잡목숲길을 따르다 가족묘를 지나면 방화선이 방화산 정상까지 이어진다. 방화산 정상에서 오른쪽(남서쪽) 방화선을 따르면 현충사 아래 충무연수원으로 내려선다. 따라서 현충사로 가려면 남사면으로 곧바로 내려서야 하지만, 철조망을 통과해야 한다.

현충사는 노량해전 때 적의 유탄을 맞아 54세에 전사한 이순신 장군을 모신 사당으로, 경내에는 고택과 <난중일기(亂中日記)> 등을 전시한 유물전시관이 있다. 꾀꼬리산과 물한산 두 곳만 연결한다면 어느 쪽에서 오르내려도 2시간이면 충분하다.


• 송촌리→꾀꼬리산→물한산→방화산→현충사(4시간)
• 송촌리→꾀꼴산성→물한산(3km, 1시간)
• 대동리(비석)→물한산(4.6km, 1시간10분)
• 송곡리(신일A)→금병산갈림길→물한산(3km, 1시간20분)
• 주막거리→윤보선대통령묘소→물한산(3km, 1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