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27일(일) ~ 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날씨 : 맑음
대상지 :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산행(여행)코스 : 대구 - 동해 - DBS훼리 - 블라디보스톡 - 피단산 - 블라디보스톡 - DBS훼리 - 동해 - 대구
산행시간 : 산행지 도착 까마즈(개조한 군용트럭)로 왕복 2시간이동 (순수산행 6시간 30분)
출국 절차를 끝내고 DBS크루즈훼리 ‘이스턴드림(Eastern Dream) (이스턴 드림號는 동해항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일본 사카이미나토를 연결한다. 1만3000t급으로 전장 140m, 폭 20m에 이른다. 평균 운항 속력은 20.15노트. 동해항에서 사카이미나토항까지는 386㎞. 두 곳은 15시간에 걸쳐 항해하지만, 612㎞ 거리인 동해∼블라디보스토크는 22시간(파도에따라 시간은 가감 될수있음)에 걸쳐 항해한다. 52개 객실 수용 한계 인원만 500명이다.
거대한 배가 파도에 출렁거리며 미끄러지듯 밤새도록 달려 다음날 13:00경(현지시각:한국보다 1시간 빠름) 블라디보스토크항구에 도착했다
아무튼 22시간 동해의 뱃길을 달려가 냉전시대 초강대국 소련의 부동항 블라디보스토크항구에 입항해 시내관광에 나서며 발해의 영토였던 이 땅의 내력을 짚어본다.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러시아 연해주(沿海州)지방에 있는 항만도시 동경131°54′ 북위43°8′ 인구 70만 명으로 “동방을 지배하라”라는 뜻으로 동해 연안의 최대 항구도시 겸 군항이다. 소련 극동함대의 근거지였으며, 북극해와 태평양을 잇는 북빙양 항로의 종점이며, 시베리아 철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항만은 표트르대제만(大帝灣)에서 남쪽으로 돌출한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 끝에 위치하며, 시가는 해안에서부터 구릉 위로 펼쳐져 있다. 철도 종점인 임항역(臨港驛)의 북쪽이 시의 중심지구이다. 신시가지와 별장 ·휴양 지대는 반도 북부의 구릉지대로 뻗어 있다. 1856년 러시아인이 발견하였으며, 그 후 항구와 도시의 건설이 시작되었고, 1872년 군항도 니콜라옙스크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1890년대부터는 무역항으로서 크게 발전하였으며, 1903년 시베리아 철도가 완전히 개통됨으로써 모스크바와도 이어지게 되었다. 1918년 봄부터 1922년까지 이 지방은 외국의 간섭군대에 의해 점령된 적이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연합군의 원조물자를 이곳에 양륙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는 군항일 뿐만 아니라 무역항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무역항의 기능이 시의 동쪽 약 90 km 지점에 신설된 나홋카항으로 옮겨졌다.
또한 블라디보스토크는 연해지방 최대 어업기지이며, 포경선 가공선·냉동선의 근거지이다. 겨울철에는 항구안이 다소 결빙하지만, 쇄빙선을 사용함으로써 1년 내내 활동이 중단되지 않는다. 시는 연해지방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극동과학센터 ·국립극동대학을 비롯하여 의학 ·미술 ·과학기술 ·무역 ·수산 등의 여러 대학이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은 1907년-1912년에 코발로프(Kovalov)에 의해 설계, 건설되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시발점으로,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표적 건물로 러시아의 건축양식을 충실히 이행한 의미 있는 현장을 따라 잠수함 전시장을 둘러 보았다.
중앙광장 중앙대로인 스베틀란스카야(Svetlanskaya)가의 중심에 위치한 광장으로 중앙에 깃발과 나팔을 든 병사의 거대한 동상이 서있다. 왼쪽에는 White House, 벨르이 돔이라 불리우는 흰색건물의 연해주 주정부청사를 바라보며 시내관광을 끝내고,
“피단산(緋緞山:1,332m)”은 극동러시아 나홋카와 파르티잔스크 사이에 있는 '연해주의 보석'으로 불릴 만큼 아름다우며, 자작나무를 비롯해 단풍나무, 병꽃나무, 가시오가피, 개암나무 등 각종 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생태계보고로, 산행은 까마즈(개조한군용트럭)로 1시간가량 이동해 계곡을 따라 시작되며 6부 능선에서 정상까지는 우리나라 지리산 장터목과 비슷한 주목 군락지와 풍화작용에 의해 생긴 '너널지대'가 타나고 초입에는 우리나라 서낭당(城隍堂)처럼, 마을의 안녕과 액운퇴치, 소원성취 등을 기원하기 위해, 나무 위에 여러 가지 색상의 헝겊을 걸어놓은 우리의 토속신앙과 아주 흡사하고, 너덜지대 곳곳에는 돈과 음식물을 놓고 치성을 드리는 장소도 있어 이 산이 한때 이곳을 지배했던 발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산 주변 파르티잔스크에는 고려인이 수천 명 거주하고 있고 일제 당시에는 이곳에서 독립군이 빨치산 투쟁을 한 곳으로 유명하며, 신이 옛 보하이('발해'를 부르는 러시아어) 전사에게 돌멩이를 내려주면서 산이 생겼다는 전설도 있는 피단산 정상에 오르면 동쪽으로는 우리의 동해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고 북서쪽으로는 광활한 시베리아 타이가지대가 펼쳐지는 장관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세계의명산-이미지 > 러시아명산트레킹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9월27일(일)~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 06 (0) | 2015.10.05 |
---|---|
2015년9월27일(일)~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 05 (0) | 2015.10.05 |
2015년9월27일(일)~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 03 (0) | 2015.10.05 |
2015년9월27일(일)~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 02 (0) | 2015.10.05 |
2015년9월27일(일)~10월1일(목) 5일 "추석연휴" 극동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 피단산 - 01 (0) | 201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