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산(武夷山)- 삼청산(三淸山)
복건성에 있는 무이산 주변 지도 / 관광 및 등산시 참조
무이산 복건성 무이산시에 위치하며, 세계문화유산의 문화 및 자연유산으로 선정된 곳이다.
아사달 동기생7명과 3인의 외부 친구, 계10명이 2012년 11월 22일-26일, 4박 5일로 항주(杭州)(절강성)-무이산(武夷山)(복건성)- 삼청산(三淸山)(강서성)-황산시(黃山市)(안휘성)-항주, 4개 성을 일주하면서 관광을 하였다.
관광 중에 안개, 비 등으로 찍은 사진들이 선명하지 않은 것이 많다. 특히 삼청산은 안개와 구름이 너무 짙어 통로 잔도(棧道)만 보일 뿐 가까이 있는 경관도 구경 할 수 없어 사진도 별로 찍지 못하고, 코스도 단축하여 하산하였다. 아쉬운 마음에 찍지 못한 경관은 구입해 온 사진 첩의 그림으로 보완하여 앨범을 꾸몄다.
▽무이암차 개념도
무이산(武夷山)은 중국 동남쪽 복건성(福建省) 북쪽에 위치하며, 1999년에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자연유산 보호구와 세계문화유산보호구 로서 쌍유산보호구로 지정한 예로부터 동남쪽 최고의 명승지로 손꼽혀 왔다
전설에 따르면, 요(堯)임금 시대에 팽조(彭祖)가 이 산의 만정봉(慢亭峰)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팽조의 큰아들 팽무(彭武)와 둘째 아들 팽이(彭夷) 두 사람은 당시 홍수로 피해를 입은 백성들을 걱정하여 아홉 굽이의 강을 파서 물길을 냈는데, 이를 구곡계(九曲溪)라고 부른다. 무이산(武夷山)이란 명칭도 팽무와 팽이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전한다. 무이산 천유봉 정상 동편에 있는 천유각(天遊閣)에는 팽조, 팽무, 팽이 세 신선의 조각상을 모셔놓고, 찬미하는 글을 새겨놓았다.
풍치구역은 사면이 모두 계곡이고 다른 산맥과 이어지지 않는다. 밖으로는 작은 산들이 무이산을 한 바퀴 에워싸고 있다. 구곡계(九曲溪)에는 36개의 연봉이 배합되어 있으며, 하천과 산이 서로 어울려 기묘한 변화를 끊임없이 빚어내면서 '벽수단산(璧水丹山)' 의 아름다운 풍경을 이룬다. 길이 7.5㎞의 구곡계는 삼보산(三保山)에서 시작하여 숭양계(崇陽溪)에서 끝난다. 우이산의 경물은 거의 구곡계와 인접하여 있다.
무이산(武夷山)은 고래로부터 풍경이 아름다워 중국의 역대 문인, 학자들로부터 찬사를 받아왔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사(寺), 묘(廟). 사(祠). 원(院), 장(莊), 실(室)이 모두 187개, 정(亭), 대(臺), 루(樓), 각(閣)이 모두 117개 축조되었다. 이로 인하여 무이산을 찾는 관광객들은 걸음마다 새로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무이산-구곡계(九曲溪) 대나무뗏목(竹筏, 주파이) 레프팅
중국 송나라 때 주희(朱熹: 朱子)가 무이산 은병봉(隱屛峰) 앞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머물면서 종래의 오경(五經) 중심의 유학(儒學)을 사서(四書)를 중심으로 사물(事物)의 이치(理致: 性理)를 궁구(窮究)하는 이른바 성리학(性理學) 중심의 유학으로 개혁하여 사람들이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는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많은 저서를 펴내고, 제자들을 길렀다.
주희는 이곳 무이산 구곡계(九曲溪)를 애호하며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지었는데 특히 조선조 후기에 주자학이 주류를 이루면서 많은 선비들이 저마다 향리나 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정사(精舍)를 짓고, 학주자(學朱子)를 꿈꾸며 연구에 몰두하면서 주자의 무이국곡가를 본 따 구곡가(九曲歌)를 내놓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時調)이다.
주희의 무이구곡가는 서곡과 1곡-9곡으로 진행되지만 이번 여행 제2일 무이산 관광 2번째 코스 구곡계(九曲溪) 대나무뗏목(竹筏: 주파이) 래프팅은 9곡에서 시작하여 7.5km를 흘러와 1곡에서 끝나기 때문에 무이국곡가의 역순이 된다.
무이산지역 요도
이 파일은 구곡계(九曲溪: 9곡-1곡), 대홍포(大紅袍), 수폭동(水瀑洞) 부분임 |
|
매 곡(曲)마다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통하여 주희(朱熹: 朱子)가 찬미한 것을 들어보면서 영상을 올리려 한다.(덤으로 끝에 율곡의 고산구곡가 10수도 병기한다)
* 서곡(序曲) |
武夷山上有仙靈 (무이산상유선령) 무이산 위에는 선령이 있고, |
* 구곡(九曲)
九曲將窮眼豁然 (구곡장궁안활연) 구곡에 다달으니 눈앞이 활연히 트이는데 | ||||||
평천(平川)은 구곡의 끝에 있는 지명이다. 이곳은 개천이 평평하게(완만하게)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3개의 커다란 바위가 품(品)자 모양을 이루고 있어 품자암(品字巖)이라 한다.
|
* 육곡(六曲) | |||
六曲蒼屛요碧灣 (육곡창병요벽만) 육곡의 시퍼런 병풍바위는 푸르른 물굽이 휘감아 돌고 芽茨終日掩柴關 (아자종일엄시관) 이끼는 종일토록 사립문을 덮고 있네 客來倚櫂巖花落 (객래의도암화락) 나그네 노에 몸을 기대니 바위에서 꽃이 떨어지는데, 猿鳥不驚春意閑 (원조불경춘의한) 원숭이와 새가 놀라지 않고 봄빛은 완연하네 | |||
|
* 사곡(四曲) |
四曲東西兩石巖 (사곡동서양석암) 사곡의 양쪽에 두 개의 바위산이 있는데, 巖花垂露碧람권 (암화수로벽람권) 바위틈 꽃에는 이슬이 맺혀 푸르르네 金계叫罷無人見 (금계규파무인견) 금닭(金鷄)이 울어 아침을 열지만 아무도 본 이가 없고, 月滿空山水滿潭 (월만공산수만담) 달은 텅 빈 하늘에 가득 하고 물은 웅덩이에 가득 차있네 |
|
* 삼곡(三曲) |
三曲君看架壑船 (삼곡군간가학선) 삼곡에서 그대는 가학선을 보았는가, 部知停櫂幾何年 (부지정도기하년) 노젖기를 그친 지 몇 해인지 모르겠네 桑田海水今如許 (상전해수금여허) 뽕나무밭이 바다가 된 것이 지금부터 언제런가, 泡沫風燈堪自憐 (포말풍등감자련) 물거품 같고 바람 앞 등불 같은 우리 인생이 가련하다 |
대장봉 아래 와룡담을 돌아 올라가면 또 천길 절벽의 소장봉(小藏峯) 이 있고, 소장봉 바위굴에는 절벽위 틈사이에 배모양의 목제관 가학선관(架壑船棺)이 있고, 이를 받치는 무지개다리 홍판교(虹板橋)가 있다고 한다. |
|
二曲亭亭玉女峰 (이곡정정옥녀봉) 이곡에 우뚝 솟은 옥녀봉, 揷花臨水爲誰容 (삽화임수위수용) 꽃을 꽂고 물가에 서 있으니 누구를 위해 꾸몄는가 道人不復陽臺夢 (도인불복양대몽) 도인은 황대몽(荒臺夢) 다시 꾸지않는데 興入前山翠幾重 (흥입전산취기중) 흥에겨워 앞산 들어가니 푸르름 첩첩 |
|
|
* 일곡(一曲) |
一曲溪邊上釣船 (일곡계변상조선) 일곡 시내가에서 낚시배에 오르니, 巾曼亭峯影潛晴川 (만정봉영잠청천) 만정봉이 맑은 물속 푸른 하늘에 잠겨있네 虹橋一斷無消息 (홍교일단무소식) 무지개다리는 한번 끊긴후 소식 없고, 萬壑千巖鎖翠煙 (만학천암쇄취연) 골골마다 암봉에 비취빛 안개 자욱하네 |
|
주희의 무이구곡가를 본 따 지은
栗谷(율곡)의 高山九曲歌(고산구곡가) (時調)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살람이 몰으든이
誅第卜居(주제복거)하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象(상상)하고 學朱子(학주자)를 하리라
제1곡 冠巖(관암
一曲(일곡)은 어드메고 冠巖(관암)에 해 비쵠다
平蕪(평무)에 내거든이 遠近(원근)이 글림이로다
松間(송간)에 綠樽(녹준)을 녹코 벗온 양 보노라
제2곡 花巖(화암)
二曲(이곡)은 어드메고 花巖(화암)에 春晩(춘만)커다
碧波(벽파)에 곳츨 ㅅ듸워 野外(야외)에 보내노라
살람이 勝地(승지)를 몰온이 알게한들 엇더리
제3곡 翠屛(취병)
三曲(삼곡)은 어드메고 翠屛(취병)에 닙 퍼 졋다
綠樹(녹수)에 山鳥(산조)는 下上(하상)其音(기음) 하는적의
盤松(반송)이 受淸風(수청풍)한이 녀름景(경)이 업세라
제4곡 松崖(송애)
四曲(사곡)은 어드메고 松崖(송애)에 해 넘거다
潭心巖影(담심암영)은 온갓빗치 잠겻세라
林泉(임천)이 깁도록 죠호니 興(흥)을 계워 하노라
제5곡 隱屛(은병)
五曲(오곡)은 어드메고 隱屛(은병)이 보기죠회
水邊精舍(수변정사)는 滿灑(만쇄)함도 가이업다
이중에 講學(강학)도 연이와 詠月吟風(영월음풍) 하올이라
* 제5곡 '은병(隱屛)' 이름은 주자의 무이정사 뒷산인 은병봉(隱屛峰)에서 이름을 따왔다 한다.
제6곡 釣峽(조협)
六曲(육곡)은 어드메고 釣峽(조협)에 물이 넙다
나와 고기와 뉘야 더욱 즑이는고
黃昏(황혼)에 낙대를 메고 帶月歸(대월귀)를 하노라
제7곡 楓巖(풍암)
七曲(칠곡)은 어드메고 楓巖(풍암)에 秋色(추색)이 죳타
淸霜(청상)이 엷게친이 絶壁(절벽)이 錦繡(금수)ㅣ로다
寒巖(한암)아 혼자 안자셔 집을 닛고 잇노라
제8곡 琴灘(금탄)
八曲(팔곡)은 어드메고 琴灘(금탄)에 달이 밝다
玉輸金徽(옥수금휘)로 數三曲(수삼곡)을 노론말이
古調(고조)를 알리 업쓴이 혼자 즑여 하노라
제9곡 文山(문산)
九曲(구곡)은 어드메고 文山(문산)에 歲暮(세모)커다
奇巖怪石(기암괴석)이 눈쏙에 뭇쳣셰라
遊人(유인)은 오지안이하고 볼ㅅ것 업다 하드라
무이산-차 대홍포(大紅袍) 원조(元祖) 탐방
무이산 4대 명차(名茶) 대홍포(大紅袍), 철라한(鐵라漢), 백계관(白鷄冠), 수금귀(水金龜) 중에서도 으뜸으로 친다는 대홍포(大紅袍)의 원조 차나무를 보러가는 길인데 아주 협곡으로 안내한다. 이런 협곡에 무슨 차밭이 있으랴 하고 의심하며 따라 갔는데 졸졸 흐르는 실개천과 좁은 골짝길 에 옷섭처럼 가늘고 길게 붙어있는 차밭이 이어진다. 중간에 차밭농원은 차 잎 조형물과 표지만 있다. 여기 차밭들을 보면서 우리 시골 옛날 골짜기 봉답(천수답) '사갓다랭이' 논과 관련된 유머가 생각이 났다.
봉답 논을 많이 가진 부자가 비오는 날 삿갓을 쓰고 논에 갔는데 비가 그쳐 삿갓을 벗어놓고 일을 다하고 논다랭이를 세는데 아무리 세어봐도 한다랭이가 모자라 하루 종일 세고, 또 세어도 모자라더란다. 논다랭이 세는 것도 지치고, 배가 고파서 밥 먹고 와서 다시 셀려고 삿갓을 집어 들었더니 그 삿갓 밑에 한 다랭이가 더 있더란다. 그래서 아주 작은 논을 '삿갓다랭이'라고 부르게 되었단다.
무이산 - 수렴동(水 穴아래巾 洞) 100m폭포 탐방
무이산 수렴동 100m 수직폭포가 장관이다.
|
100m수직 폭포 |
'◈ 해외명산지도-정보 > 중국명산트레킹,지도·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악(南岳) 형산(衡山) 지도 (0) | 2015.02.23 |
---|---|
안휘성 제운산 (0) | 2015.02.23 |
하이난(해남도) 지도 (0) | 2014.08.29 |
계림시(桂林市. GUILIN. 구이린).지도 / 정보 (0) | 2014.08.26 |
중국의 오악(五岳)북악항산,동악태산,남악형산,서악화산,중악숭산 (0) | 201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