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명산-이미지/중국명산트레킹앨범

2014년5월1일~5일(4박5일)병마용 & 진시황릉 - 01

정상고집 2014. 5. 8. 12:33

2014년5월1일~5일(4박5일)

날씨 : 맑음

장소 : 화산,태백산,용문석굴,소림사

제1일차(1일) : 인천-서안 이동(대한항공 ) // 병마용 & 화청지 & 진시황릉 & 대안탑 탐방

 

진시황릉은 중국 최초의 황제인 진 시황제의 묘지이다. 여산, 또는 역산(酈山)은 산시 성 시안에서 30km 떨어진 동현의 원산원(驪山園)에 있는 야산이다. 기원전 246년에서 208년까지 39년간 공사를 했으며, 지금의 황릉의 무덤은 76m로 무덤이 있는 야산은 옛 진나라의 수도 함양의 서쪽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사마천 사기의 진시황본기 편에 따르면 시황제 즉위 초부터 여산(酈山)에 무덤을 착공하여 통일 후에 최대 70여만 명까지 동원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진시황릉은 병마용과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며 발굴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곳이 정확한 위치인지는 알기 어렵다. 지금의 진시황릉은 다분히 황릉의 위치와 역사적 의미만을 알려주는 전시용이며, 입구에서부터 정상까지 가는 200m 정도의 계단을 설치하고 규모만 파악할 정도의 의미 밖에 주지 못한다. 지금도 넓은 산에 발굴이 계속 중이며, 언젠가는 발굴이 끝나 실체를 밝힐 것으로 예상할 뿐이다.

진시황의 사후 함양으로 들어온 항우가 30만의 병사들을 동원해서 도굴을 했다는 기록과 황소의 난 때 이곳을 도굴하여, 외부로 노출된 쇠붙이는 모두 도굴해 갔다는 기록이 있어 여러 번 외벽의 도굴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내와 강을 이뤄 바다가 형성될 정도로 엄청난 양의 수은을 이용하여, 지하궁전을 지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그 기록에 따르면 수은으로 인해 지하궁전은 완전한 도굴이 힘들었을 거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1974년 3월 29일에 한 농부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1], 1987년에 병마용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병마용갱(兵馬俑坑)은 중국 산시 성 시안 시 린퉁 구에 있는 진시황릉에서 1km가량 떨어져 있는 유적지로 흙을 구워 만든 수많은 병사, 등의 모형이 있는 갱도이다. 1974년 농민우물을 파다가 우연히 발견되어 지금까지 4개의 갱도가 발견되었다.

병용은 키가 184cm에서 197cm로 큰 편이며 장군이 보다 크게 만들어져 있다. 병마용은 전사, 전차, 말, 장교, 곡예사, 역사, 악사 등 다양한 사람과 사물을 표현하고 있다. 발굴된 4개의 갱도 중 3곳에 모두 8천여 점의 병사와 130 개의 전차, 520 점의 말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직 상당수가 흙 속에 묻혀 있다.[1]

 

병마용갱은 진 시황제장례에 사용된 테라코타이다. 병사, 말 등을 흙을 사용하여 등신대로 제작하여 구워 만들었다. 병마용갱은 1974년 한 농부에 의해 발견되어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사마천사기에는 진시황릉이 70만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기원전 246년에 건축되기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마천의 기록은 진시황릉이 완공된 후 1 세기가 지난 때에 저술된 것이다. 그는 진시황릉이 지하에 황궁을 그대로 옮긴 것과 같은 규모였으며 수은이 흐르는 100여개의 강과 수십 개의 망루를 가진 도성에 온갖 보물과 병사를 조성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진시황릉은 지하 궁전으로 지어졌으며 완공이 된 후에는 도굴을 막기 위해 인부들을 생매장하였다고 한다.[2] 2003년 1월 9일 진시황릉의 부장릉이 발견되어 진시황릉이 병마용 뿐만 아니라 실제 황궁을 재현한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었다.[3]

최근 조사 결과 병마용갱 부근의 리산의 토양이 많은 수은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이것이 바로 진시황릉이라 추정되고 있다. 진시황릉은 높이 76미터 넓이 350 평방미터에 이르는 흙으로 조성된 피라미드인 것이다. 리산에 대한 발굴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4] 2007년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원격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에 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5]

 

병마용의 병사들은 장인들에 의해 머리, 몸통, 팔 다리가 각각 제작된 후 결합되었다. 연구 결과 제각기 다른 얼굴을 위해 8 종류의 틀이 사용되었다고 한다.[6] 다른 부위도 각기 여러 종류가 있어 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병마용을 제작한 것이다. 다리 부분은 대부분 동일한 형태로 같은 틀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조립을 위해서는 각각의 부분을 맞춘 뒤 다음 과정으로 넘겨주는 생산 공정에 따른 조립 라인이 있었을 것이다. 최근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 기와의 생산과 같은 일상 생활 용품의 제작에서도 이러한 생산 라인이 존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병마용은 살아있는 듯한 모습의 등신대로 제작되었으며 얼굴 부위에는 채색의 흔적이 있다. 병마용의 존재는 진 시황제의 권력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