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학산(遊鶴山 839m)은
동란 2개월만에 국군이 낙동강까지 밀리면서 유학산 하나를 두고 인민군과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던 역사의 현장이다.
산행은 기념관에서 5km 거리의 팥재주차장(641m)에서 도봉사를 거쳐 헬기장을 지나 정상에 오르는길과, 전적기념관에서 시작하여 중부고속도로 교각 아래를 지나면
823봉은 이정표(정상←, 용댕이골↑)가 서 있는 갈림길이다.
그 절정은 철계단을 지나 바로 왼쪽에 있는 전망대이다. 이어지는 능선길이 막바지다. 헬기장과 산불방지시설을 잇따라 지나면 정면에 유학산 정상의 팔각정이 보인다.
유학산은 육산에 가깝지만 정상이 다가올수록 암릉같은 느낌도 든다. 유학산 산행의 정점이라 할 만한 전망대 바위가 있다.
유학산은 아래서 올려다보면 돌 병풍을 펼쳐 놓은 것 같다. 50길이 된다는 쉰길바위는 암벽훈련장으로도 유명하며 학바위로도 불린다.
▷ 경부고속도로 금호분기점→중앙고속도로→다부IC→오른쪽 방향→전적기념관
◑ 다부동전적기념관→철탑→674봉→793봉→837봉→암릉구간→헬기장→산불초소→유학산(838.6m) 정상→도봉사→팥재→도개2리 마을회관(약 4시간)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신동, 황상동, 금전동. 장천면 신장리
◈ 천생산(天生山 407m)은
생김새 때문에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동쪽에서 보면 하늘 천(天)자로 보이고 정상이 일자봉으로 생김새가 특이하여 하늘이 내놓은 산이라 해서 천생산이라고도 하고, 함지박을 엎어 놓은 것 같다 하여 방티산, 한일자로 보인다 해서 일자봉, 병풍을 둘러친 것 같다 해서 병풍바위라고도 부르며, 장천면 일대에서는 천생산성을 박혁거세가 처음 쌓았다는 전설 때문에 혁거산이라고 부른다.
천생산성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산행은 무지개 마을에서 시작해 천룡사와 미득암을 지나 가파른 계단길을 올라 천생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엔 노송들과 바위사이로 산성비가 있다.하산은 통신바위를 지나 신장리의 자골이나, 정상에서 서쪽 능선을 떠라 신동 마을회관으로 하산해도 되고, 정상에서 북문
방향으로 12~3분 가서 북서릉을 타고 검성골마을로 하산하는 길이 있다. 어느 코스를 택하는 2시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천생산성(天生山城)은 천생산(407m) 정상 주위 8∼9부 능선을 따라 축조되어 있다.
인근의 금오산성(金烏山城)과 가산산성(架山山城)과 더불어 영남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겼던 산성이다.
비슷한 형태인 두 개의 산봉우리를 이용하여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 축조했으며 내성의 길이는 약 1,300m, 외성은 약 1,320m 정도이다.
마을에서는 외성을 '외밭'으로 부르고 있는데, 내성에 공급하는 농작물의 경작, 군마의 방목, 군사 훈련장 등으로 이용된 보조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내성은 인근 주민의 피난 및 전투 등의 목적을 가지고 축조된 것으로 군사 및 군마를 위한 우물, 못, 건물, 장대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원본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구미.칠곡] 천생산.유학산.소학산.백운산.매봉산.실봉산 등산지도
[구미.칠곡] 천생산.유학산 등산지도
[구미.칠곡] 천생산.유학산.황학산 등산지도
[구미.칠곡.선산] 천생산.유학산 등산지도
'◈ 한국의산·등산지도 > 경상도-등산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북정맥 8 학당고개 - 백월산 - 수무재 등산지도 (0) | 2012.03.02 |
---|---|
(문경)오정산/어룡산/운달산/종자산/성주봉/운달산/단산 등산지도 (0) | 2012.02.23 |
(합천)인덕산 등산지도 (0) | 2011.12.19 |
(대구.달성)비슬산 등산지도 모음 (0) | 2011.12.06 |
(경주)무장산 등산지도 (0) | 201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