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야초-정보

마가목(馬牙木)의 효능, 먹는 법

정상고집 2011. 9. 15. 13:41

 

 

 

 마가목 효능과 먹는법

 

마가목은 줄기나 줄기의 껍질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약으로 쓴다.

잎도 약으로 쓰지만 열매를 주로 약으로 쓴다. 이 열매를 '마가자'라고 한다.

마가목은 갈잎 큰키나무로표고 500~1200m의 비교적 높은 산지의 활엽수림, 주로 화강암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호히색으로 어린 가지에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의 윗면은어두운 녹색이고 밑면은 회색인데, 잎 뒤 주맥에약간의 털이 있는 것을 "엷은 털마가목'이라고 한다.

잎의 모양에 따라 힌털마가목, 잔털마가목, 완털빛마가목, 찻빛마가목, 은빛마가목, 넓은잎 당마가목 등 여러종류로 나뉜다.

  

   

성분

마가목은 줄기나 줄기의 껍질은 맛이 쓰고 성질은 차다.

B-시토스테롤, 아우쿠파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신성한 열매에는  비타민C, 플라보노이드, 카테콜, 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비타민C,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꽃에는 L-로이신. L-바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어떤 효과가 있을까 ?

 

풍, 진통을 치료한다.

특히 화추피(마가목 줄기 또는 줄기 껍질)는 풍기나 습기에 의한 저림증, 마비증, 통증을 없애준다. 풍습 중풍에 의한 반신불수나 타박상에 의한 부종과 동통도 치료한다.

 

진액 생성하며, 이뇨작용을 한다.

따라서 화추피 및 열매는 비위가 약하여 진액이 마르는 것을 개선하며, 소르비톨은 삼투성 이뇨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부기를 가라 앉힌다.

 

진해 거담 작용을 한다.

화추피 및 열매는 해수를 멎게 하며 가래를 제거한다.

따라서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결핵에 응용한다.

 

강장 작용을 한다.

특히 화추피는 쇠약한 노인을 보혈, 보양하고 성 기능을 높이며, 허리 힘과 다리맥을 세게 한다. 또한 흰 머리를 검게도 한다.

 

지질강하 작용을 한다.

특히 열매는 체내의 간지질을 낮춰주며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춰준다.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 ?

 

부종의 경우

마가목 열매 20g에 물 500cc를 붓고 끓여 그 양이 반으로 줄면 1일 2회로 나누어 따뜻하게 복용한다.

 

폐결핵의 경우

마가목의 줄기 또는 줄기 껍질 12g을 물 500~700cc로 끓여 반으로 줄여 하루 동안 나누어 복용한다.

 

만성기관지염의 경우

1알에 2.7g의 화추피를 함유하는 알약을 만들어 1회에 6~7알씩,1일 3회 복용한다.

임상 보고에 따르면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여 3단계까지 치료한 45차례 중 증상이 억제된 환자가 5차례, 현저한 효과를 본 경우가 9차례, 유효가 19차례 였다고 한다. 초보적 관찰에 의하면 해수, 천명, 가래의 3가지 증상에 대해 일정한 효과가 있었지만, 진해나 거담 작용이 더 강했다고 한다.

 

풍습에 의한 통증, 저림증의 경우

 마가목 줄기나 줄기껍질 8g을 물 300cc로 달이거나 술에 담가 우려 먹는다.

 

소변분리의 경우

또는 열림(배뇨 때 화끈거리며 소변이 시원치 않은 병증)이나 배뇨 때 음경에 통증이 있는 경우, 혹은 요도에서 고름이 흐르거나 붓는 경우에는 마가목의 줄기나 줄기껍질 12~20g을 물 500~700cc로 끓여 반으로 줄여 하루 동안 나누어 마신다.

 

 생활 한방 정보 : 다른 이용법은 ?

 

풍습에 의한 통증, 저림증의 경우

 

* 마가목의 줄기나 줄기껍질 200g을 소주 1800cc에 담가 1개월 이상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맑은 술만 받은 후 그 술로 환부를 맛사지 한다.

 

 ▣ 주의사항

 

* 음허화왕(체내에 구조적 물질이 결핍되어 이상항진에 의해 생긴 병증)의 경우에는 쓸 수 없다.

 

* 메스꺼움, 식욕부진, 연변 등 위장의 부작용과 두통이 소수에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계속 복용하면 대부분 자연히 낫는다.

    그러나 양이 지나치면 안된다. 적정량은 줄기나 줄기껍질의 경우 1일 12~20g이며 열매는 40~80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