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명산-이미지/중국명산트레킹앨범

2011/0726~30(4박5일)숭산/태항산트레킹(숭양서원)-01

정상고집 2011. 8. 2. 18:07

숭산(嵩山)

소림사가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중국의 중요 명소이자 국립산림공원으로 일려져 있는 숭산의 총면적은 151km²이다.

숭산 내에 위치한 숭악사탑(嵩岳寺塔)은 화하제일탑(華夏第一塔)이라고도 불려지는데 북위 효 명제 정광연간(520년)에 지어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탑을 탑의 높이는 40m이며 모두 15층이다.

숭산의 정확한 위치는 중국 하남성 등봉시 북쪽으로 높이는 1.440m이다.

태실산,소실산 등 모두 72개의 산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산중에는 세 첨봉이 있고 중간을 준극봉, 동족을 태실봉, 서쪽을 소실봉,이라고 한다.

 

숭산은 도 중악산 이라고도 부르는데 예로부터 외방산, 태실산, 숭고산, 등의 많은 별칭이 있어 왔다.

숭산은 중국 5대 명산 즉 5악의 하나로 꼽히며 당나라 때에는 신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또한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여 승려와 도사의 수업도량이 되었던 사찰이 있다.

그 중 숭산을 더욱 유명하게 하는 소림사는 선종의 시조 달마대사가 면벽 9년을 좌선을 했던 곳으로 황폐해질 때마다 재건하여 후세까지 선종의

중심지가 되어 왔다.

그 밖에 숭악사는 수당 시대의 북종선의 중심이었던 절인데 숭악 석탑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도한 숭악석탑외에 문화유적으로 중악묘 한나라 때의 숭양서원, 관성대, 법왕사, 등이 있다.

 

 

 

소림사(少林寺 : 샤오린스,shaolin Temple)

 

중국 제 1의 선종 사찰이자 소림파 무술의 발원지인 소림사는 정주와 개봉 사이에 있는 등봉시, 중악숭산,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소실산 아래의 무성한 숲속에 위치해 있다고 해서 소림사 라고불리게 되었다.

북위 태화 19년(495년)에 효문제가 인도 승려 발타대사를 위해 지어졌으며 지금까지의 역사만 해도 1.500년으로 후에 선종늬 시조가 됨과 동시에

소림사는 중국 선종의 조정이 되었다.

흔히 소림사느 달마대사가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 사실은 약 1.500념전 북위의 효문제 때(495년) 인도에서온 발타선사가

창건했다. 전설에 따르면 발타선사는 여섯명의 친구와 함께 출가 했는데 친구들은 모두 성불하고 발타만 부처가 되지 못하였다.

그래도 낙망하지 않고 구도의 길을 떠난 발타는 마지막으로 중국에 이르러 효문제을 만나게 되고 효문제의 명으로 소림사를 세웠다.

그는 30년간 소림사에 머물다가 떠났다고 한다.

소림사하면 달마대사가 떠오를 정도로 달마대사의 면벽 수련은 널리 알려져 있다.

 

면벽 수련은 9년동안 지속 되었는데 면벽은 움직임이 없는 벽과 같이 정신의 동요가 없게 하는 수련 과정이다.

면벽을 마친 후 신체가 많이 약해진 달마대사는 건강회복을 위한 신체수련에 들어갔는데 이것이 점차 발전되어 소림파 무술의 일부가 되었다.

달마대사의 면벽 수련과 함께 또 유명한 것이 그의 제자 혜가의 이야기이다.

혜가는 달마대사의 제자가 되기 위해 찾아가 받아줄 것을 청하였다.

하지만 달마대사는 하늘에서 붉은색의 눈이 내리면 받아 주겠다고 했다.

그러자 주저없이 혜가는 자신의 왼쪽 팔을 잘라서 쌓여있는 하얀 눈 위를 붉게 만들어서 달마대사의 제자가 될수 있었다.

소림사는 무술로 유명하다.

소림 무술은 수당 시기에 이미 세상에 알려 졌으며 송대에는 독특한 풍격으로 소림파 라는 중국 무술 중 하나의 문파가 되었다.

소림사는 오랜시간을 지내오는 동안 많은 유적들이 손실 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풍부한 문화 유산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문물들은 모두 오랜

역사의 예술적,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조용하고 웅장한 소림사를 관광하고 싶다면 년중 어느때도 좋지만 사람들로 북적거리고 활기에 넘치는 소림사를 관광하고 싶다면

국제무술대회가 열리는 89월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중악묘(中岳廟)

숭산의 태실산 기슭에 세워진 도교 사원으로서 원래는 진대의 사당으로 만들었지만 확장을 거듭하여 지금은 하남성 최대의 사묘 건축이 됐다.

묘 안으로는 중화문, 서부터 북쪽방향 일직선으로 요참성, 준극전, 구석의 어서루, 까지 103km에 걸친 다수의 불각, 전, 문 등이 즐비하며 묘,

앞에는 높이 3m의 철인상, 4개가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숭양서원

 

 

 

 

 

 

 

 

 

 

 

 

 

 

 

 

 

 

 

 

 

 

 

 

 

 

 

 

 

 

 

 

 

 

 

 

 

 

 

 

 

 

 

 

 

 

 

 

 

 

 

 ☞ : 숭산-태실봉으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