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07월16일(일)~19일(수) 2박4일 홍콩 - 01
2017년07월16일(일)~19일(수) 2박4일
대상지 : 홍콩
걍 무작정 홍콩으로 ~~
그런데 홍콩ㄷ에서 별로 기억에 남는 것은 없다. 홍콩에 갔으면 홍콩트레일을 해야 되는데 이번엔 비만 줄기차게 보고 비님을 피해서 백화점에 쇼핑기억만 ~~
홍콩(중국어: 香港, 병음: Xiānggǎng 샹강, 영어: Hong Kong, 광둥어: Hoeng gong 횡겅)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다.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중국어 간체: 中华人民共和国香港特别行政区, 정체: 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 병음: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Xiānggǎng Tèbié Xíngzhèngqū 중화런민궁허궈 샹강 터볘 싱정취, 광둥어: zung1 waa4 jan4 man4 gung6 wo4 gwok3 hoeng1 gong2 dak6 bit6 hang4 zing3 keoi1 중와얀만궁워궉 횡겅닥빋항징커이, 영어: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이다. 홍콩 섬(중국어 정체: 香港島)과 가우룽(중국어 정체: 九龍)과 신계(新界) 및 그 밖의 230개의 부속 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가까운 도시는 광둥성 선전 시와 마카오이다.
역사
홍콩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그 기원이 올라간다. 이 지역은 진 시황제 시절에 첫 번째로 병합되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당시 무역항과 해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서구인은 1513년에 상륙한 포르투갈인인 조르제 알바레스이다. 영국과의 접점은 동인도 회사가 광둥 성 근처 도시에 무역항을 건설한 이후에 이루어졌다.
1839년에 청나라의 승인으로 이루어진 아편 수입 금지안은 중국과 영국 사이의 제1차 아편 전쟁을 낳았다. 홍콩 섬은 1841년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난징 조약으로 청나라로부터 홍콩 섬이 정식으로 양도되었다. 이듬해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의 건립과 함께 홍콩총독부를 신설하였다. 1860년 중국의 제2차 아편 전쟁 패배 이후에 가우룽(구룡)이 베이징 조약 하에 영속적으로 영국에 귀속되었다. 1898년에 영국은 홍콩과 인접한 북부 섬과 신 행정구역으로 알려진 신제(신계)를 99년 간 조차받았다. 19세기의 홍콩은 영국의 주요 무역항이었다. 홍콩은 영국의 물산 집산지로써 활용되는 자유 무역항으로 선언되었고 가우룽 반도-광둥 성간 철도가 개통되었으며 또한 영국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1870년대 ~ 1880년대 이후 홍콩은 아시아의 영국령 중에서 가장 빅토리아 문화가 개화된 지역이 되었다.
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은 홍콩을 점령했다. 홍콩이 일본 제국에게 지배 받는 동안 시민들은 강제 배급에 의해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전쟁 국채 발행을 위한 통화 환율 정책의 강제로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전쟁 전 홍콩의 인구는 160만이었으나, 영국이 식민지 지배권을 회복한 1945년 8월에는 거의 60만으로 줄었다.
1949년 국공내전 이후 중화민국이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으로 패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을 때, 중국 공산당의 억압을 피하기 위해 많은 중국인이 이주하였다
1978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경제 개혁안을 시작했을 때, 홍콩은 중국 대륙에 투자되는 외국 자금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이듬해 선전 경제 특구가 설치되었고, 재정과 금융 분야에서 계속해서 영향력이 커지면서 홍콩의 산업은 제조업과 섬유에서 점진적으로 서비스 업종으로 대체되었다.
1984년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영국은 1997년에 홍콩의 주권을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하는 것에 동의하는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 조약은 홍콩이 50년 동안 법과 자치권을 유지하는 특별 행정 구역으로 수행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양도 후 헌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홍콩 기본법은 1990년에 제정되었다. 홍콩 주권 양도는 1997년 7월 1일 자정을 기점으로 치러졌고 둥젠화는 홍콩의 첫 번째 홍콩 특별 행정구 행정 장관으로 취임하였다.
홍콩의 경제는 1997년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덮친 아시아 외환 위기에 영향을 받았다. H5N1 (조류 독감) 역시 그 해 홍콩을 뒤덮었다. 공항 중심 프로그램(Airport Core Program)은 6년간의 공사 이후에 1998년 홍콩 국제공항의 개항을 이끌었다. 이 프로젝트는 야심찬 1980년대에 기안된 항만, 공항 발전 계획의 일환이었다. 2003년도 초반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 홍콩에 나타났다.
항간에 홍콩이 2020년 중국 본토에 위치한 경제 특구 선전 시와 통합된다는 잘못된 소문이 있으나 일부 중국 내 그리고 홍콩내 친(親)공산당 정부 인사들의 주장이 뉴스에 나온 것으로 잘못된 것이며 현재 홍콩과 중국 본토와의 심각한 갈등을 보고 있자면 매우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50년 간의 자치권이 소멸된다고 명시된 홍콩법으로 인해
*홍콩의 자치가 2047년 소멸되어 자치권이 중국 중앙정부로 돌아간다고 하지만 이는 확정되지 않았고, 실현 가능성도 적은 내용이다.
실제 홍콩과 중국은 사소한 것까지 법이 달라 쉽게 통합이 불가능하며 혼란을 방지하고자 중국 측으로서는 50년의 시간을 두고 차이를 좁혀본 후 진전이 없을 경우 그 시효를 자동적으로 또 50년 연장하게 된다는 것이 홍콩 법조계의 주된 의견이다.
정치
일국양제
홍콩의 정치 제도는 대체로 영국이 통치했을 때의 행정, 입법, 사법을 답습했고 다만 서로 예속되지는 않았다. 특별행정구 성립 후에도, 여러 가지 정치 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전혀 다르게 유지되었다. 홍콩 기본법은 덩샤오핑이 구상한 “일국양제”(중국어 정체: 一國兩制)의 이념(우물물은 강물을 범하지 않는다, 각자 한계를 분명히 하여 서로 범하지 않는다)을 확실히 보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행정, 입법, 사법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체제에서 분리되어 간섭받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콩 사람이 홍콩을 다스리고, 고도의 자치를 한다”(중국어: 港人治港) 라는 원칙에 따라, 홍콩은 현재까지도 “중국 홍콩”(영어: Hong Kong, China, 중국어: 中國香港)의 이름으로 경제, 무역, 금융, 항공, 통신, 관광, 문화, 체육 등의 영역에서 단독으로 국제 기구에서 관계를 유지, 발전하고 있고, 관련된 협의를 체결하고 이행하고 있다. 홍콩이 참여하는 기구로는 세계무역기구(중국어 정체: 世界貿易組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중국어 정체: 亞洲太平洋經濟合作組織), 아시아개발은행 (ADB, 중국어 간체: 亚洲开发银行), 국제결산은행(중국어 정체: 國際結算銀行), 국제올림픽위원회 등 모두 14개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홍콩 내외의 정치인 및 여론, 일국양제를 질의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예를 들면, 파룬궁이 홍콩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하는 것, 베이징에서 홍콩의 보통 선거를 쟁취하려는 모습, 홍콩의 정치인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제도에 대한 의견을 공개 발표하는 것, 2007년 행정장관 입후보자 렁춘잉(중국어 정체: 梁振英)은 중앙 정부에서 특구 관원 임명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을 제기하는 등,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질의하게 하는 것은 라는 사안이었다.
행정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행정장관(영어: Chief Executive, 중국어: 行政長官)이 이끌고 있다. 행정장관은 간접 선거로 치루어 지며, 선거인단으로 구성 된 선거 위원회 800명을 통해서 1인 1표의 방식으로 기명한다. 한편 특별행정구 정부의 제1차 위원회 구성 위원단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으로부터 임명되었고, 제2차 위원단 부터 기능별로 선거 유권자가 선출하였다. 2007년 후의 구성 및 선거 방법, 기본법에서 덧붙인 문건에 의해서 순서를 지정하고 수정하였다. 행정장관은 매번 5년을 임기로 하고 1회 더 연임할 수 있으나 전 행정 장관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면 다음 임명자는 남은 임기를 다음 임기의 5년에 더한다. 행정장관이 주관하는 행정회의(영어: Executive Council, 중국어: 行政會議)는 홍콩에서 행정부에 상동하는 기관이다. 초대 행정장관은 둥젠화이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서 위임하는 400명이 추천 선발하여 1996년 12월에 제1차 행정장관 선거에 승리했다. 2002년 2월, 둥젠화는 800명의 선거 위원회에서 700명 이상의 추천을 얻어, 제2회 행정장관 선거에 참여했고, 상대가 없는 상황에서 선거를 통하지 않고 연임했다. 그는 2005년 3월에 건강에 이상이 생겨 사임했고, 2005년 6월, 정무국장인 쩡인취안(도널드 창, 영어: Donald Tsang, 중국어: 曾蔭權)이 행정장관 보궐선거에서 자동 선출되었다. 2007년 1월 31일 렁춘잉(중국어: 梁振英)은 선거 위원회에서 1/8이상의 추천을 얻어, 정식으로 제3회 행정 장관의 선거에 입후보 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2012년 3월 25일, 1200명의 선거 위원회에서 689명의 지지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역
홍콩은 세계적인 무역대국이다. 수출입량으로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 바쁜 컨테이너 항구 중 하나이고, 승객수와 국제 화물 처리량으로 세계에서 번화한 공항 중 하나이다. 대외 은행 교역량으로 홍콩은 세계 15대 은행센터이다. 외국 기업과 중국 기업들이 잇달아 홍콩 주식 시장에 상장하여 홍콩 주식 시장 총액은 2006년 뉴욕을 제치고 세계에서 런던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시장이 되었다. 국제통화기금의 2010년 통계에 따르면, 홍콩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1인당 GDP)은 31,799달러이고, 1인당 실질 구매력(1인당 PPP)은 45,277달러이다. 홍콩의 1인당 PPP는 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이다. 2010년 각 산업을 종합해 보면 국내생산총액에서 서비스업 비중이 92.3%로 가장 높고, 산업 비중은 7.6%, 농업 비중은 0.1%이다.
홍콩은 자본주의 경제 체제 및 자유 방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경제학자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밀턴 프리드먼은 홍콩을 자유 방임 경제의 사범이라고 보고 있다. 2006년 9월 11일 선포한 “소 정부 대 기업 정책”(영어: positive non-interventionism, 積極不干預)을 다시 적용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그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로, 정부의 경제 정책 이념은 여전히 시장 역량에 의해서 경제를 주도하게 하고 있었고, 시장 발전을 조작하고 이끄는 것은 피하고 있다. 상업 규정 관리는 간소화하고, 정부는 청렴결백하고 고효율, 저(低)세율, 세제(稅制)의 간소화, 법제 건전화, 재산권 관념의 견고화, 등의 요소들은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에게 홍콩은 시장 경제 운영의 선두 주자로 믿게 하고 있다. 미국 전통 기금회는 1995년에, 캐나다 프레이저 학회는 1996년에 발표한 자유경제체제보고서에서 줄곧 홍콩을 세계 1위로 평가하고 있다. 게다가 우수한 지정학적 위치, 정보 유통, 고효율의 조립 가공, 서비스까지 홍콩의 경제에 공헌한다.
홍콩은 비좁은 땅으로 천연자원이 부족해, 무역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영국은 홍콩을 할양 받은 뒤 1841년 6월 7일에 자유항이 되었음을 선포하고, 상선 자유 진출을 허가했다. 홍콩은 편리한 지리 위치 및 깊은 수심과 넓은 항구의 해항을 이용해서, 중계 무역 물류의 메카로 발전하였다. 1949년 국공 내전을 피해 기술과 자금을 가진 중국인들이 홍콩으로 이주하였다. 대표적으로 홍콩 상하이 은행과 영국계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이 있다. 곧 이어 한반도에서 터진 한국 전쟁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 대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에 서서 참전했기 때문에 1950년대 초 유엔이 실시한 수출입 금지 조치에 직면하게 되었고, 홍콩은 중계항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엔지니어의 창의력 및 거대하고 청렴한 노동력에 의해서, 홍콩은 경공업형 경제로의 변화가 시작되었으며 공단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가공 수출 제품으로는 방직물, 플라스틱 ,가발, 시계, 전자 부속 등이 있었다. 1970년대 말에 이르러, 중화인민공화국은 덩샤오핑의 지도 아래 개혁개방을 실시하고, 제조업은 중국 대륙으로 이동하고, 홍콩은 다시 중계항으로서의 위치를 회복하였다. 금융업, 서비스업의 비중이 갈수록 커져 갔고, 국제 금융의 중심으로 변화에 성공했다. 홍콩 경제는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대한민국, 중화민국,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4마리의 용 중 하나로 명성과 명예를 얻었다.
그런데, 홍콩 반환의 시기가 되자 홍콩인들의 자금이 외부로 유출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홍콩 경제 전망을 비관적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1995년 《재부잡지》(財富雜誌)에서는 “홍콩의 죽음”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인수하여 관할한 후에는 모든 것이 끝나지 않을까 걱정했다[3].
홍콩 반환 이후 1997년 말에서 1998년 초까지, 부동산 시장 주식 시장까지의 거품이 폭발했고, 시장 상황 소비 의욕에 영향을 주었다. 1998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홍콩 경제에 심각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8월 국제 투기꾼들이 홍콩 달러의 허술한 틈을 타서 공격을 하였고, 선물 시장 및 증권 시장까지 영향을 받았고, 정부는 14일에 역사에 유례가 없는 방대한 자금을 투여하고 시장에 관여했고, 극대한 논쟁거리를 야기했다. 국내 수요는 감소했고, 연간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고, GDP는 5.1% 감소했다. 정부는 그 후 1999년에는 투자 신탁의 형식으로 주식을 구입했고 주식을 점차 되팔았다. 그리하여 홍콩 경제는 점차 조금씩 소생의 기미를 보였으나 2001년 미국 경제가 쇠퇴로 인하여 외국 금융 시장 환경에 연루되었고, 게다가 미국에서 일어난 9·11 테러는 관광업에 큰 타격을 주었다. 또한 인터넷 거품이 터졌고, 그해의 GDP성장은 0.1퍼센트로 추락했다. 2002년 소폭의 회복을 거친 후, 2003년 3월 중 사스가 터져 나왔고, 4월 2일 세계보건기구는 홍콩에 대한 여행 경고를 발표했고, 관광업은 심한 타격을 받았고, 시민 소비 의욕도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정부는 4월에 118억 홍콩 달러를 사용해 사스의 재앙을 없애려 했고, 홍콩은 드디어 6월 23일 전염병 발생 지구로부터 벗어났다. 그 후, 홍콩 경제는 회복의 기미가 보였고, 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에 특혜를 주었고, 그리하여 홍콩과 중국 대륙의 더 긴밀한 경제 무역 관계를 실현하였다. 더욱이 미국 달러의 약세가 시작되었고, 달러 약세와 긴밀한 관계를 갖는 홍콩 달러는 국제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게 되었고, 세계에 홍콩 수출품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의 시정 보고서에서는, 정부는 금융, 물류, 관광과 상공업을 홍콩 4대 경제 버팀목으로 더욱 확고히 했고, 그리고 버팀목 산업들이 발전하길 바랐다. 이후, 경제 성장세가 점점 세차졌고, 2006년 12월 28일 홍콩 주식 증시는 처음으로 2만 포인트를 돌파하였고, 그 날의 거래량은 542억에 달했다.
과학 기술의 신속 발전으로 세계화를 맞이하자, 서비스업 주도의 홍콩 경제도 세계적 경쟁에 직면하였다. 홍콩은 규제완화로 고부가 가치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게 되고, 이 와중에 중국 대륙 경제의 자유화로 인해 서비스업의 쾌속 성장을 이끌었다. 홍콩과 중화인민공화국은 2004년 6월 29일에 《더욱 긴밀한 경제·무역관계 처리》에 따라, 국경을 뛰어넘는 무역을 촉진하는 것에 서명하였다. 협의는 홍콩 화물을 중국 대륙에 수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무관세의 혜택, 홍콩 서비스업이 중국 대륙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혜택, 양국의 전문 자격을 서로 인정하는 것, 그리고 국경을 뛰어넘는 무역 투자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었다.
지리
홍콩 특별행정구는 홍콩 섬(중국어 정체: 香港島), 가우룽(중국어 정체: 九龍), 신제(중국어 정체: 新界)와 그 밖에 260여 개의 외곽 섬을 포함하고 있다. 면적은 1,100 평방 킬로미터이며, 남북간 거리 38 킬로미터, 동서간 거리 50 킬로미터에 달한다.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보다 조금 넓다.
홍콩은 주 강 건너편에 위치한 마카오의 동쪽에 위치하며, 광둥 성 선전 시의 가장자리의 남쪽에 위치한다. 영토의 가장 높은 지대는 958m의 태모산이며, 가장 낮은 지대는 신계지의 북서부 지역이다. 구룡 반도는 북쪽으로 신계지와 맞닿아있고, 신계지의 북쪽으로 중국대륙의 동남쪽 끝의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홍콩은 총 262개의 반도와 섬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란타우 섬이 가장 큰 섬이며, 두 번째로는 홍콩 섬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홍콩’이란 지명은 말 그대로 ‘향기로운 항구’를 옮긴 것이며, 현재 홍콩 섬의 샹강쯔(Aberdeen)(香港仔)에서 유래된 것이다.
샹강쯔는 홍콩 섬 남서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과거에 무역 지대였으며, 가우룽 반도와 홍콩 섬을 가로질러 빅토리아시와 산을 사이에 두고 있다. 홍콩은 큰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자연 환경의 보존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많은 부분의 영토가 발전되지 않은 채 험한 산과 가파르게 경사진 지대로 남아 있다. 홍콩의 면적 1,100 킬로미터 중 25%도 안 되는 426 평방만이 개발되었으며, 남은 지대의 40%정도가 공원과 개발제한구역으로 되어있다. 가우룽반도가 가장 도시화 되어 있으며, 신계지에도 신도시가 건설되고 있다. 홍콩은 지대가 길고, 불규칙한 곡선의 해안선과, 많은 평지와 강이 있다. 영토의 울창한 삼림과 해양의 배경에도 불구하고 환경인식이 높아 많은 인구가 거주함에도 홍콩의 환경 등급은 높다.
기후
홍콩은 온대 하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wa)에 속한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국지성 폭우와 천둥을 동반하고 남서쪽에서 더운 공기가 밀려온다. 태풍과 홍수 그리고 때로는 산사태까지 동반하는 계절도 여름이다. 겨울은 2월로 갈수록 맑은 날씨에서 시작하여 구름이 많은 날씨가 되며, 강한 바람과 북쪽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동반한다. 가장 쾌적한 계절은 봄과 가을로 변화무쌍하기는 하지만, 보통 화창하고 건조하다. 홍콩은 연중 평균 1,948 시간의 일조 시간을 가진다. 봄은 3월~5월 중순까지이며, 습도가 높고 기후가 불안정하다. 여름은 5월 하순~9월 중순인데 비가 많이 내리고 찌는 듯이 덥다. 습도가 90%를 넘을 정도다. 가을을 9월 하순~12월 상순으로 습도가 낮아지고 1년 중 가장 지내기 편하다. 겨울은 12월 중순~2월으로 습도와 기온이 모두 낮다.
언어
홍콩의 공식 언어는 중국어(광둥어[5])와 영어로서 홍콩 어디서나 사용된다[6]. 영어는 영국의 통치가 시작된 이후 1974년까지 약 120여 년간 홍콩의 유일한 공용어였다
홍콩에서 사용되는 영어는 영국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다음은 그 예이다.
*"centre", "colour" 등 일부 단어가 영국식으로 표기된다.
*층수를 세는 방법은 1층을 "ground floor(G/F)"라고 부르고, 그 다음층을 "first floor(1/F)", "second floor(2/F)"…라고 부른다.
*지하도를 "tube", 승강기를 "lift", 초등학교를 "primary school"라고 부른다(미국 영어에서는 지하철을 "subway", 승강기를 "elevator", 초등학교를 "elementary school")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영국과 미국 영어의 차이를 참조
광둥어는 1974년 전에는 법적 공용어가 아니었지만 실질적 공용어의 지위를 누렸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1980년대 말부터 중국 본토와의 왕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표준 중국어(푸퉁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정부 회의에서 광둥어-표준 중국어 간 동시 통역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콩은 중국어를 정체자로 표기하지만 반환 이후부터는 간체자로 표기한 정부 자료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공식적인 표기는 아직 정체자이다.
외국인들 중에는 타갈로그어, 인도네시아어, 힌디어, 일본어, 한국어 등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홍콩의아침이다.
웡타이신 사원
우기라 비가 내린다 소호거리
가계문이 특이하다
홍콩은 고기을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고 하루물량을 상온에서 팔고있다.
어딜가나 사람사는 곳은 거기서거기다.
1954년에 이거리가 형성된것 같다.
계란빵 맛보려구~
홍콩의 문화을 즐기구~~
계란빵
이마크는 우리나라로치면 KS마크다.
걍 우리나라 동피랑마을을 보는듯하다.
벽화에서 한컷
커피도 한잔하구
홍콩화페박물관에서 홍콩전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