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노래하는 포크가수 신현대님의 " 설악가"
< 설악가 - 신현대>
1, 굽이져 흰띠두른 능선길 따라, 달빛에 걸어가는 계곡의 여운을
내어이 잊으리요 즐겁던 산행을 잘있거라 설악아 내다시 오리니~
2, 저멀리 능선위에 철쭉꽃 필적에 너와나 다정하게 손잡고 걷던길
내어이 잊으리오 꿈같던 산행을 잘있거라 설악아 내다시 오리니~
3, 저높은 봉우리에 백설이 필적에 나는야 생각난다 친구의 모습
내어이 잊으리오 꿈같던 산행을 잘있거라 설악아 내다시 오리니~
설악산에는 설악가라는 노래가 있다. 설을 남긴 천화대는 그 만큼 아름답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끝 지점인 공룡능선에서는 비선대 방향으로는 동북쪽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설악을 대표하는 30개 이상의 크고 작은 봉우리를 넘어야하는 구간이다. 천화대에서는 화채봉과 동해바다가 보이며 북동쪽으로 울산암이 바라보이는 곳 이기도하다. 풍광과 조망 또한 좋아서 등반 내내 발길을 멈추곤 한다. 십동지묘 와 설악산에서 등반도중 숫한 목숨을 잃은 산악인들의 묘지가 있다. 그중 엄홍석과 신현주도 그러했다.
신현주의 끝 자인 "주"를 딴 석주길이라는 길이 생기게 되었다. 산악계에서는 처음 길을 개척한사람에게 "명명(命名)권" 을 주게 되는데 송준호에게 명명권을 주어 두 사람의 석주길이라는 길이 설악산 천화대에 생기게 된 것이다. 새벽 등반 중 악우였던 엄홍석과 신현주를 따라 토왕성폭포에서 생을 마감한다. 근데 1973년 새해 첫 날밤 등반하루 전 그는 엄홍석과 신현주에게 마지막 편지를 남긴다...? 죽음을 예감이라도 한 듯 번지 없는 주소로 엽서를 보낸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상영을 앞두고 그를 기다리다 그가 나타나지 않자 뇌리에 스쳐오는 송준호를 생각하며 극장가를 떠난다.
훗날 다시 극장가를 찾은 그의 애인 은 영화의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 처럼 살아달라는 송준호를 생각하며 홀로 객석에서 눈물을 흘려야했다. 애인은 동판에 송준호에게 마지막 편지를 썼다. "고인의 뜻대로 강하게 살아가겠다고". 00산악 농대출신의 한 사람과 함께 설악의 노루목을 찾았다. 그녀와 함께 살아가겠다고... 그 이듬해 그들은 결혼해서 그들의 꿈이었던 목장을 이루고 살아가면서 설악가 처럼 굽이져 흰띠두른 능선길 따라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
"시간(時間)과 존재(存在)의 불협화음으로 공간을 활보하고 있는 악우(岳友)들이여! 철학적 경이로써 모둠된 그대들의 자취는 훗날 이 인자한 산정을 찾는 이들의 교훈일 것이다. 추억을 침묵으로 승화시킨 사람들, 그 대담한 의지로 회생하리라." 잘 잊거라 설악아 내 다시 오리니~라고!... |